회진에서 회로회락
장흥군 최남단에 위치한 회진면은 한때 지역 경제 중심지인 노력이 활기를 띠었지만, 현재는 인구 감소와 각종 산업·관광 침체로 장기적인 소멸 위기와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. 본 Site Study는 회진의 잠재력과 한계,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공간·산업·공동체 관점에서 진단하고, 주민 인터뷰, 데이터 분석, SWOT 진단 등 다양한 현장정보를 바탕으로"함께 나아가고, 순환하며, 즐기는 회진"이라는 비전을 위한 전략 기초를 제시합니다.

사이트 분석

해안선을 따라 다양한 자연·관광·산업 자원이 점재하지만, 도로·생활 중심축은 단절되어 있습니다.
농림지역이 전체 면적의 71%를 차지할 만큼 개발 여력이 크지만 실제 거주 및 산업 기반은 협소합니다.
주요 진입축, 생활축, 자연환경축의 잠재력 분석을 바탕으로 연결·순환·공생 구조 도출을 목표로 합니다.
농림지역이 전체 면적의 71%를 차지할 만큼 개발 여력이 크지만 실제 거주 및 산업 기반은 협소합니다.
주요 진입축, 생활축, 자연환경축의 잠재력 분석을 바탕으로 연결·순환·공생 구조 도출을 목표로 합니다.
장흥군 공간구조

주민 인터뷰

- “텃세 없고 이주민도 부녀회장 한다”
- “교통 불편, 택시요금 부담”
- “교육·보육 시설 부족이 큰 아쉬움”
- “관광객은 오지만 체류/정주 전환 어려움”
- “풍부한 지역 자원, 활용은 미흡”
크롤링 분석

축제, 문학, 체험, 자원 등 키워드가 부각.
자원의 풍부함에도 연결·브랜딩·체류 중심 전략 필요성 대두.
자원의 풍부함에도 연결·브랜딩·체류 중심 전략 필요성 대두.
SWOT 분석

- 강점: 해양‧문학‧관광자원, 특산물, 다양한 행사축제
약점: 인구감소, 교통‧주거 단절, 체류형 관광 부재 - 기회: 농촌개발·박람회 연계, 6차산업화, 공식 플랫폼화
위협: 기후 리스크, 고령화, 유휴시설 증가
유·무형 자원
노력항선학동이청준문학관한승원생가유채꽃/매생이무산김/낙지/꼬막천년학세트장바다체험/어촌체험지역축제




인구분석 및 SITE INFO
면적 25.99㎢, 인구 2,465명
청년인구 감소 -19.6%, 연평균 인구감소율 -2.5% (농촌 평균 2.5배)
농림지역 71%, 빈집 약 5%
청년인구 감소 -19.6%, 연평균 인구감소율 -2.5% (농촌 평균 2.5배)
농림지역 71%, 빈집 약 5%

지역 토지 분석

비전 및 전략
회진의 점적 공간 구조와 단절된 자원을 선-면으로 연결하여
회진(會進): 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정주 공간,
회로(回路): 6차산업·산업거점·교통 네트워크로 순환하는 발전,
회락(會樂): 문화·예술·로컬브랜딩으로 생활과 활력이 순환하는 농촌으로
다함께 살아가는 회진의 미래상을 그립니다.
이는 공간, 산업, 커뮤니티, 자원의 유기적 재구성과 지속성장의 전략으로 구체화됩니다.
회진(會進): 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정주 공간,
회로(回路): 6차산업·산업거점·교통 네트워크로 순환하는 발전,
회락(會樂): 문화·예술·로컬브랜딩으로 생활과 활력이 순환하는 농촌으로
다함께 살아가는 회진의 미래상을 그립니다.
이는 공간, 산업, 커뮤니티, 자원의 유기적 재구성과 지속성장의 전략으로 구체화됩니다.